<p></p><br /><br />뉴스 분석 이어가겠습니다. 정치부 최재원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<br>[질문1]남북정상회담 조율은 그제, 금요일부터 이뤄진 것이잖아요. 그럼 미리 알리고 회담을 할 수도 있던 것 아닌가요? 회담 결과를 하루 뒤에 공개한 이유도 궁금하군요? <br><br>네, 먼저 첫번째 질문부터 답을 드리면요. <br><br>회담을 먼저 제안한 것은 북한 쪽이었는데 처음부터 비공개를 요청했다고 합니다. <br><br>북한의 관행이죠. 최고지도자의 동선을 미리 공개하지 않는다는 게 원칙입니다. <br><br>두 차례의 북중 정상회담 때도 극비리에 진행한 뒤 사후공개했고요.<br><br>또 4.27 남북정상회담에서도 김정은-리설주의 동선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꼭꼭 숨겼습니다. <br><br>청와대 역시 비공개를 원했다고 합니다. <br><br>다음달 12일 북미회담 날짜까지 시간 없기 때문에 속전속결로 만나야 했는데 사전에 회담 개최 사실이 알려졌다면 불가능했다는 겁니다. <br><br>미국을 비롯한 주변국들과의 조율이나, 경호 등 준비 과정 모두 하루 이틀만에 해결되지 않을 만큼 복잡해졌을 것이란 설명입니다.<br><br>회담 결과를 하루 뒤에 발표한 것 역시 김 위원장의 요청이었습니다.<br><br>북한은 자체 검열을 거친 뒤에야 주민들에게 새로운 소식들을 전합니다. <br><br>다음날 신문과 방송에 정리된 내용을 내보내면서 대대적으로 선전할 목적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[질문2] 공개적으로 우리와 미국을 향해 불만을 쏟아내던 북한은 왜 이렇게 단번에 태도를 바꾼 걸까요? <br><br>김정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취소 결정을 듣자마자 지난 25일 금요일 하루 동안 할 수 있는 조치는 다 했습니다. <br><br>우선 오전에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 담화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다시 손을 내밀었고, <br><br>오후에 서훈-김영철 라인을 통해 문 대통령에게 직접 만나자고 제안했습니다.<br><br>본인은 원산 시찰 도중 비행기를 타고 서둘러 평양으로 돌아왔습니다.<br><br>판이 깨지면 자신이 위험해질 것이란 직접적인 위협을 느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. <br><br>문 대통령의 말 듣고 이어가겠습니다.<br><br>김정은 위원장에게 불분명한 것은 체제 안전을 보장하겠다는 것에 대해서 확실히 신뢰할 수 있는가라는 것에 대한 걱정이 있다고 봅니다. <br><br>핵을 포기하래서 포기했는데 리비아의 카다피나 이라크의 후세인처럼 몰락하는게 아니냐는 불안이 있다는 겁니다. <br><br>김정은에게 가장 중요한 약속은 자신의 자리가 보장될 수 있느냐인거죠. <br><br>[질문3] 네, 실제 판은 깨지지 않은 모양입니다. 북미가 실무협의가 다시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도 있는데 어디서 열리고 있는겁니까? <br><br>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. <br><br>"여기서 멀지 않은 어떤 장소에서 북미 간의 미팅이 진행 중"이라고 했습니다. <br><br>이 얘기는 미국 안에서 북미실무협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되는데요. <br><br>이 경우 가장 유력한 것은 뉴욕 유엔 주재 북한대사관을 통한 접촉, 이른바 뉴욕 채널입니다. <br><br>뉴욕 채널의 북한 외교관들은 미국 당국의 감시 속에 주거지 반경 40㎞ 밖으로 나갈 수 없다고 하죠. <br><br>이와 함께 이번주 싱가포르에서 북미 간 사전 접촉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4] 정리하면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겠다는 뜻이 분명하고, 실무 접촉도 이뤄지고 있는 것인데, 두 사람이 만나면 합의가 이뤄질까요? <br><br>네, 핵심은 비핵화를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의견차입니다. <br><br>미국은 일괄타결, 핵무기도 북한 밖으로 빼내고 핵시설도 없애고, 사찰도 받는 등 한꺼번 핵폐기를 해야 보상을 주겠다는 것이고, 북한은 하나 하나 단계적으로 하고 그 때마다 보상을 받겠다는 겁니다. <br><br>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회담 의지를 밝혔고, 트럼프 대통령도 회담 논의가 아주 잘 진행되고 있다고 했습니다. <br><br>실무 접촉 등을 높해 비핵화 방법에 물밑 교감이 이뤄진게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가 되고 있습니다. <br><br>다만, 문 대통령, 오늘 이런 말을 했습니다. <br><br>"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이르는 길이 결코 순탄하지 않을 것"이라고 했습니다. <br><br>지난 한주 반전의 반전을 거듭했습니다. 실제 회담 당일까지 상황이 떻게 바뀔지 모르는 일입니다. <br><br>여기까지 듣겠습니다. 정치부 최재원 기자였습니다.